실생활정보/건강상식

비만은 영양 부족으로 오는 것

지식상자함 2019. 8. 21. 15:37
728x90
반응형

누구나 고민인 다이어트는 아마 평생 숙제이자 고민이지 않을까 싶은데요. 특히나 옷이 가벼워지고 노출이 시작되는 여름이 다가오면 더더욱 급 다이어트를 하시는 분들이 많을텐데요. 이는 당연히 단기간이기 때문에 다시 곧 원래의 몸으로 돌아오게 되어 실패를 하는 경우가 대다수 입니다. 이는 체중인 몸무게에만 집중하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요요가 오는 현상은 당연한 것이지요.

 

평생 다이어트와 인연을 끊고 살고 싶다면 아마 이 글을 주목하여 잘 읽어 보시길 추천합니다. 먼저 다이어트에 대한 개념부터 다시 잡아야 합니다. 다이어트는 '몸이 정상'이 되면 체중도 정상이 되는 것입니다. 당연한 이치인데 우리는 이 당연한걸 당연하게 생각하지 않는 다는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몸은 혈압도, 당뇨도, 혈관질환도 모두 정상이 되는 것입니다. 다시 말하자면 비만은 미용의 문제가 아니라 바로 건강의 문제인 것입니다. 그래서 현대 의학에서는 비만도 병이라고 지칭을 하는 것이지요.

 

그런데 왜 다이어트는 힘든 것일까요? 왜냐하면 잘못된 정보들도 넘쳐나고 그것만 골라서 하기 때문입니다. 다이어트 시장은 점점 커져만 가는데 우리는 점점 뚱뚱해져 가는 몸을 가지게 됩니다. 잘못된 정보는 다이어트뿐만 아니라 건강을 헤친다는 가장 큰 문제가 있습니다.

 

그럼 왜 자꾸 배는 고프고 왜 적게 먹는데 살이 찌는 것일까요? 우리 몸은 정상적으로 몸을 운영하기 위해서 에너지가 필요합니다. 그럼 그 에너지를 만들어서 사용하려면 필요한 요소들이 있습니다. 그 필요한 요소가 바로 비타민과 미네랄 같은 영양소입니다. 그 영양소만 충족을 잘 해준다면 우리 몸은 정상적으로 건강하게 작동 되는 것입니다. 몸이 이 비타민과 미네랄이 필요할 경우 우리 뇌에 신호를 보냅니다. 그 신호가 바로 배고픔입니다.

비타민B가 부족해도, 마그네슘이 부족해도 배고프다는 신호를 보냅니다. 음식을 섭취하여 그 영양소를 채워달라는 것입니다. 그럴때 우리는 정작 필요한 요소가 아닌 칼로리만 몸에 넣어줍니다.

 

우리의 식습관이 아침엔 토스트나 우유와 시리얼로 대충 먹고 점심엔 김밥이나 짜장면 등 밖에서 떼우고 저녁엔 삼겹살이나 술 한잔 하기 좋은 안주 등으로 먹는다면 당연히 비타민과 미네랄을 전혀 음식으로부터 섭취하지 못하는 것입니다. 이는 식품첨가물로 만들어진 것들을 먹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영양분이 없어 얼마 지나지 않아 몸은 배고프다는 신호를 또 보내게 됩니다. 그래서 비만 환자들은 영양소가 결핍된 경우입니다.

 

물만 마셔도 살이 찌는 이유는 기초대사량과도 연관이 되어 있습니다. 왜 10대때도 지금과 같이 먹고 운동량도 별반 차이가 없을텐데 그때는 찌지 않고 지금은 찌는 것일까요? 살이 찌는 이유는 단순히 많이 먹어서만이 아니라는 이야기입니다. 물만 먹어도 살이 찌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무섭게 많이 먹는데도 마른 사람이 있습니다. 이는 칼로리를 조절하는 문제가 생기면 비만이 되는 것입니다. 기초대사량을 올리는데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운동입니다. 유산소 보다는 근력운동이 더욱 효과적입니다. 큰 근육을 운동해야 칼로리가 소모가 많이 되고 지방이 타서 살이 빠지는데 도움이 됩니다.

 

살을 빼려면 수면도 신경을 써야 합니다. 잠이 부족하면 절대 지방이 빠지지 않습니다. 그리고 영양소들이 부족하면 칼로리를 태우지 못해 남은 칼로리가 지방으로 쌓이기 때문에 저칼로리에 신경을 쓰는 것이 아니라 진짜 음식을 먹고 있는지가 중요한 것입니다.

 

제가 한번 더 정리를 해드리자면 여기서 가장 중요한 포인트가 바로 영양소가 되겠습니다. 영양소가 부족하면 지방은 타지 않습니다. 그럼 다이어트를 한다면 지방이 아닌 나머지 수분과 근육, 뼈의 무기질이 빠지는 것입니다. 그만큼 영양소는 정말 중요한 문제가 되겠습니다. 다이어트에서 가장 먼저 해야할 것이 내 몸에 영양소를 채워주는 것입니다. 그래야 지방이 타는 것이 당연한 상식이기 때문입니다. 요요없는 다이어트를 비만에 대한 상식과 올바른 다이어트 방법을 알아보고 포스팅하도록 해보겠습니다.

 

 

 

728x90
반응형